@챈챈/#JavaScript
[JavaScript] JS기초 - 배열 메소드 속성
자바장인
2020. 1. 10. 16:47
배열 본 김에 배열 메소드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.
종류 | 설명 |
join(연결문자) | 배열 객체의 데이터를 연결문자 기준으로 1개의 문자형 데이터로 반환함 |
sort() | 배열 객체의 데이터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함 |
reverse() | 배열 객체의 데이터 순서를 거꾸로 바꾸고 반환함 |
slice(index1, index2) | 배열 객체의 데이터 중 원하는 인덱스 구간만큼 잘라서 배열 객체로 가져옴 |
pop() | 배열에 저장된 데이터 중 마지막 인덱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함 |
splice() | 배열 객체의 지정 데이터를 삭제하고 그 구간에 새 데이터를 삽입함 |
concat | 2개의 배열 객체를 하나로 결합함 |
push(new data) | 배열 객체의 마지막 인덱스에 새 데이터를 삽입함 |
shift() | 배열 객체에 저장된 데이터 중 첫번째 인덱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함 |
unshift(newdata) | 배열 객체의 가장 앞의 인덱스에 새 데이터를 삽입함 |
length | 배열의 길이(개수)를 반환함 |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|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</head>
<body>
<script>
var arr_1 = ["컴퓨터공학과", "전자공학과", "정보통신공학과", "경영학과"];
var arr_2 = ["컴퓨터정보공학과", "정보통신공학과", "소프트웨어공학과"];
for (i in arr_1) {
document.write(arr_1[i], "<br>");
}
for (i in arr_2) {
document.write(arr_2[i], "<br>");
}
var result = arr_1.join("-");
console.log(result);
result = arr_1.concat(arr_2);
console.log(result);
result = arr_1.slice(1, 3);
console.log(result);
console.log(arr_1);
arr_2.reverse();
console.log(arr_2);
arr_1.splice(2, 1, "화학공학과");
console.log(arr_1);
var data1 = arr_2.pop();
var data2 = arr_2.shift();
console.log(arr_2);
arr_2.unshift(data1);
console.log(arr_2);
</script>
</body>
</html>
|
console.log로 찍은 결과는 이렇습니다.
회사에서 splice 인덱스 문제로 잠깐 골머리를 앓았던 적이 있지만 저는 잘 해결했습니다.
아주 재미있는ㅠㅠ 자바스크립트